디지털,브랜드 마케팅 FUNDAMENTAL 2
### 디지털 마케팅의 이해
**1. 마케팅의 개념**
고객에 대한 니즈를 계속 충족 시키는 기업만이 존재가 허락된다.
>**영업과 마케팅의 차이?**
`영업 - 기업입장
`마케팅 -소비자 중심,시장 입장
>``영업은 대놓고 팔려고 설득하는것이고, 마케팅은 사게하기 위해 유혹하는 것이다``
***소비의 마인드 변화***
``발견 - 이해 - 배움(브랜드에 대해) -선호 ,구입 - 사용 - 신뢰 - 지지``
**2. 마케팅의 패러다임 변화**
공급과잉 시대엔 [[POD - 우리 브랜드만의 차별점(Point of Difference)|포지셔닝]]이 필요하다.
``가치와 스토리 강조 - 소비자들이 정보를 탐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.``
``Ex) 파타고니아 - 이 사례를 보니 브랜드의 Attitude도 중요한거 같다.``
고객경험이 중요해지고 온/오프라인을 망라해야한다.
``하이테크+하이터치 = 휴머니즘 강조한 미래융합``
>ZMOT(Zero moment of Truth) : 소비자는 검색 과정에서 의사를 결정한다.
^1c0cdf
`동의한다. 이미 생각한 가격과 브랜드를 예상하고 검색으로 확인하는 과정이다.
**3. 마케팅믹스 변화흐름**
**4P - (기업중심)**
`Product
`Price
`Place`
`Promotion ``
**4C - (고객중심)**
`Customer Benefit ``
``Cost ``
``Conveniecne``
``Communcation - 라이엇 고객센터``
**4R - (관계중심)**
``Responsive - 삼성 이재용 사과문``
``Relevant ``
``Relationship - 로아 금강선 디렉터``
``Return - 멜론 멤버쉽 해지사건``
**4. 마케팅믹스 5A Model**
키워드 - 마켓 4.0 (필립 코틀러)
>**인지 - 호감 -질문 - 행동 -옹호**
>>`` `인지를 하게되고 호기심이 생기게 된다. 괜찮은지 대략 정보를 찾아보고 자신의 감수성과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는 요인까지 체크한다. 추가정보까지 접하고 지름신이 강림한 고객은 그 제품에 만족하여 충성 고객이 된다.``
ㄴ 소비자를 저 단계대로 움직이게 하는게 마케터의 목표
**5. 디지털마케팅의 개념, 대하는 자세**
`숫자들과 데이터, 그래프를 분석해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선별하고 비즈니스에 활용 하는 것.
``마음만 먹으면 뭐든지 찾아볼 수 있는 시대 - 소비자에게 주어진 정보의 자유는 매우 조심해야한다. - 입맛을 맞춰줘야함. - 즉 니즈를 잘 파악해야한다. - ex)게임 벨패에 대한 징징이들``
``1차 자료를 가공시켜나가 정보화하여 인사이트를 구해라. ``
>[[1. 제텔카스텐 - 숀케 아렌스| 책을 너만의 언어로 바꿔라]]
**6. 고객인사이트 발견 툴
##### **Pain Point**
**Touch Point VS Pain Point**
``페인 포인트 제거 = 고객이 불편한 점을 제거.``
**Who가 제일 중요.**
``주 소비층을 설정하고 그들의 특징을 판단해야한다.``
**익숙해진 불편함**
``원래 MP3와 핸드폰은 따로 들고 다녔어야했는데, 스티브 잡스가 핸드폰으로 들을 수 있다는 걸로 혁신함. - 에어팟도 마찬가지 느낌(노래 들으면서 옷갈아입는 편리)``
**명확하지 못한 POINT**
``추상적 포인트보단 구체적인 점을 찾아야한다.``
##### **고객 페르소나**
``타깃 설정하때 단순히 나잇대와 성별이 아닌 어떤 감성을 가지고 있는 그룹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 필요하다.``
**[[AIO _Activities+Interest+Options|AIO]]
``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알아야한다.``
Activities(활동)+Interest(흥미)+Options(태도)
``EX) 생활 신조 : 욜로, 워라블, 힐링, 소확행, 플렉스``
**_강사님 인사이트 : 무엇 때문에 걱정하고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가?_**
##### 고객경험여정맵
**트리거** :
`물건을 지르기로 했을때의 결심의 이유`
**소비자의 온라인 구매여정 :** **[[#^1c0cdf]]
``ZMOT , Messy middle.``
**그냥 느끼고 있는 점 :**
``마케팅이란 학문이 세분화에 따라 단순한 본질과 진리는 흐려지게 되고, 간단히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본성에 대해서 망각하게 되는 것인가? 탈레스의 사례를 보면, 현대 마케팅에 대한 개념은 몰라도 지금와서도 돈을 잘 벌거같다. 조금 더 본질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없을까? (메논과 소크라테스가 덕에 대해 논하는것과 인간의 정의에 대한 몽테뉴의 의견 참조)``
제로베이스 자료임을 밝힙니다.
옵시디언으로 정리중입니다.